본문 바로가기
JTBC
JTBC 뉴스
전체내비게이션
홈
뉴스
이전
시사종합
연예스포츠
이슈
랭킹
카드뉴스
다음
다시보기
이전
JTBC 뉴스룸
상암동 클라스
정치부 회의
다음
오픈J
이전
여론조사
기자구독
뉴스APP
트위터
페이스북
뉴스 NOW
뉴스 SNS
팩트체크
다음
제보
이전
제보하기
다음
닫기
검색
뉴스
TV
ON AIR
편성표
뉴스
시사종합
연예스포츠
이슈
랭킹
카드뉴스
다시보기
JTBC 뉴스룸
상암동 클라스
정치부 회의
오픈J
여론조사
기자구독
뉴스APP
트위터
페이스북
뉴스NOW
뉴스SNS
팩트체크
제보
마이페이지
고객센터
건설 폐기물 파묻은 땅에서 벼농사…'브랜드 쌀'로 판매
입력
2020-10-22 22:31
수정
2020-10-22 22:57
작게
크게
공감
좋아요
슬퍼요
화나요
후속취재요청
댓글
[앵커]
경기도 일부 지역에서 '건설 폐기물'이 섞인 논에서 자란 벼를 브랜드 쌀로 포장해 팔고 있습니다. 저희 취재진이 다섯 달 동안 현장을 추적했는데요. 업체들이 처리 비용을 아끼려고 논에다 폐기물을 퍼부었지만, 단속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김도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 7월 중순 경기도 한 골재 공장 입구.
덤프트럭 한 대가 나옵니다.
한적한 농촌마을로 들어가더니 싣고 온 검은 진흙을 쏟아냅니다.
농작물이 자라는 곳까지 검은 진흙이 쌓여있습니다.
인근의 또 다른 농지에도 검은 진흙이 퍼부어집니다.
2.5m 높이로 쌓여 있는 건설 산업폐기물, 무기성오니입니다.
한 움큼 떼서 만져봤더니, 갯벌처럼 찐득하고 습기가 많아서 찰흙처럼 쉽게 뭉쳐집니다.
무기성오니는 건설용 모래를 만들 때 나오는 폐기물 진흙입니다.
화학 약품이 들어가 중금속 오염이 의심됩니다.
그래서 정부는 농지에 묻지 못하게 규제합니다.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 : 오염 폐기물이잖아요. 농지 형질 자체를 오염시키겠다는 건데.]
원래는 경작지였던 곳인데요.
이렇게 폐기물 흙이 묻혀있는 곳 바로 옆에는 아직 추수도 끝내지 않은 벼농사가 한창입니다.
일대는 모두 벼를 키우는 논이 주변을 에워싸고 있습니다.
무기성오니는 허가를 받은 폐기물업체를 통해 처리해야 합니다.
하지만 일부 업체들은 처리업체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농지에 묻습니다.
비용을 아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골재업체 관계자 : 합법적으로 하려면 (덤프) 한 대당 40만~60만원 정도. 불법 처리하면 20만원 내외면 가능하니까. 1년으로 보면 10억정도 비용 절감이 (되죠).]
전국 골재업체는 약 200곳, 경기도와 인천에만 67곳.
전체 33%가 몰려 있습니다.
취재진은 5월 모내기철부터 최근 벼 수확철까지 경기도 5개 시군에 폐기물 흙이 묻힌 농지를 추적했습니다.
마을 주민들도 폐기물인 걸 압니다.
[마을 주민 : (이 위에다 뭘 심겠네요?) 모 심지 모. 내년부터. 노인들은 모르지 이게 얼마나 나쁜지. 사람한테 안 좋은 거지. 다 브랜드(쌀) 이지. 우리가 먹는 거야 결국은]
경기 남부권의 유명 브랜드 쌀 산지 중 한 곳입니다.
곳곳에서 콘크리트 조각과 벽돌도 발견됩니다.
[농민 : 농사짓기 나빠서 이거 하는 거예요. 이거 해서 벼만 잘 되는데 할 XX들 꽤나 없는 XX들이야. (선생님 손주들 먹일 수 있겠어요?) 아니 그거는. 아 그러면 OO면에 있는 거 다 해요.]
지난 5월 경기 남부권의 또 다른 브랜드 쌀 생산지.
덤프트럭들이 폐기물 진흙을 논에 버립니다.
5달 만에 다시 가봤더니 누렇게 익은 벼가 자라있거나 수확이 끝난 곳도 있습니다.
[경기도 00시 관계자 : 농지에 그렇게 성토하는 건 불법이라고 (정부에서) 답변을 받은 상황이에요.]
화학 폐기물 진흙에서 자란 벼에 어떤 위험이 있는지 조사된 건 없습니다.
[강재헌/강북삼성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 폐기물이 매립되고 작물이 자랄 경우에는 인체 유해한 성분을 갖고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연구가 요망됩니다.]
경기도 특별사법경찰단은 수사에 나서겠다고 밝혔습니다.
(영상디자인 : 최수진 / 영상그래픽 : 김정은)
JTBC 뉴스를 만나는 다양한 방법
JTBC 뉴스
유튜브 공식 채널
구독하기
JTBC 뉴스
페이스북 공식 채널
좋아요
JTBC 뉴스
카카오톡 공식 채널
친구추가
JTBC 뉴스
채널 서비스
구독하기
이전
다음
이 기사를 쓴 기자
김도훈
기자
더보기
네이버 구독
시청자들이 무릎을 '탁' 치거나 눈물을 '왈칵' 쏟을 수 있는 '공감백배' 뉴스 제작을 지향합니다. 시민들의 분노와 슬픔, 사람냄새도 담아내는 기자이고 싶습니다.
반도체 수출액 '반토막'…한국 경제 '악순환 늪' 빠졌다
김진광
기자
더보기
구독하기
영상취재팀 김진광 촬영기자입니다.
고발전 번진 김건희 여사 주가조작 의혹…민주 '특검' 총공세
원동주
기자
더보기
구독하기
"JTBC 영상편집기자 원동주입니다."
서울 중형택시 기본요금 4800원…지하철·버스도 곧 인상
이전
다음
좋아요
슬퍼요
화나요
후속취재요청
맨위로
에디터 PICK!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