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떨어지는 기초학력…응급처방은 '방과후 무료 보충 수업'

3~5명 소규모 방과 후 수업ㆍ대학생 '튜터' 등

올해 2학기부터 내년까지 기초학력이 부족하거나 원하는 학생들은 방과 후에 무료로 보충 수업을 받을 수 있습니다. 3~5명이 함께 수업받는 소규모 반부터 대학생이 참여하는 '튜터링', 고등학생 대상 1대1 컨설팅도 가능합니다. 약 203만 명이 지원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과 수도권 교육감들은 오늘 '교육 회복 종합방안' 기본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코로나 19 확산 사태가 길어지면서 학습 결손과 격차가 커지자 '방과 후 보충수업'을 핵심 대책으로 내놓았습니다.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교육회복 종합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교육회복 종합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앞서 교육부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지난해 11월, 고2와 중3 전체 학생의 약 3%를 표집으로 조사해 기초학력을 점검했습니다. 이 결과 주요 과목의 학력이 전반적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먼저 각 학교에서는 178만 명을 대상으로 '학습 도움닫기'를 운영합니다. 교과 학습을 따라가기 힘들거나 보충 수업을 원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3~5명 소규모 수업반을 만듭니다. 교사가 방과 후나 방학 중에 집중적으로 이들을 지도하는 프로그램입니다.

교대와 사범대 대학생들이 참여해 수업하거나 상담을 해 주는 '예비 교원 튜터링' 사업도 포함됐습니다. 대학생 튜터가 학생 4명을 맡습니다. 한 달에 40시간씩 4개월간 참여합니다. 교육부는 초중고 학생 24만 명이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추산합니다.

고등학생에게는 1대1 맞춤형 학습 지원 사업도 확대합니다. 올해 하반기 전국 1700개 고등학교에서 약 1만여 명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과밀학급도 줄여나가기로 했습니다. 교육부는 학급당 28명 이상인 과밀학급을 없애기 위해 2024년까지 총 3조 원을 투입합니다.

당장 2학기부터는 1155개 학교에서 특별교실을 바꾸거나 조립식 교실을 만드는 등의 방법으로 과밀학급을 줄이기로 했습니다.

교육부는 2학기 전면 등교 방침은 일단 유지하기로 했습니다. 유 부총리는 “학사 일정이나 운영 방식이 사회적 거리두기와 연계돼 있기 때문에 거리두기 단계의 전국적 조정을 파악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8월 둘째 주 정도까지는 2학기 학사 운영과 일정에 대해 입장을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JTBC 뉴스를 만나는 다양한 방법

이 기사를 쓴 기자

기자사진
성화선기자 더보기
사회부에서 기자를 시작했습니다. 경찰 출입 기자를 거쳤습니다.

올해 수능, 킬러문항 빠졌지만 국·영·수 모두 까다로웠다

에디터 PICK! 핫뉴스

    대표이사 : 이수영, 전진배
    주소 :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산로 38 | 연락처 : (02) 751-6000
    사업자등록번호 : 104-86-33995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2017-서울마포-0896
    기사배열기본원칙책임자 : 김준술 | 기사배열기본원칙
    청소년보호책임자 : 방지현 | 청소년보호정책

    JTBC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