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TBC
JTBC 뉴스
전체내비게이션
홈
뉴스
이전
시사종합
연예스포츠
이슈
랭킹
카드뉴스
다음
다시보기
이전
JTBC 뉴스룸
상암동 클라스
정치부 회의
다음
오픈J
이전
여론조사
기자구독
뉴스APP
트위터
페이스북
뉴스 NOW
뉴스 SNS
팩트체크
다음
제보
이전
제보하기
다음
닫기
검색
뉴스
TV
ON AIR
편성표
뉴스
시사종합
연예스포츠
이슈
랭킹
카드뉴스
다시보기
JTBC 뉴스룸
상암동 클라스
정치부 회의
오픈J
여론조사
기자구독
뉴스APP
트위터
페이스북
뉴스NOW
뉴스SNS
팩트체크
제보
마이페이지
고객센터
칠곡 할매들 '마지막 수업'…90년 만에 빛나는 졸업장
입력
2023-01-25 20:49
수정
2023-01-25 21:37
작게
크게
공감
좋아요
슬퍼요
화나요
후속취재요청
댓글
[앵커]
컴퓨터 글꼴로, 또 대통령 연하장에서도 볼 수 있는 글씨체의 주인공은 늦깎이 공부로 한글을 익힌 경북 칠곡 할머니들입니다. 건강이 좋지 않아서 수업을 더 못 듣고 있었는데, 오늘(25일) 할머니들을 위한 마지막 수업이 열렸습니다.
윤두열 기자입니다.
[기자]
수업에서 모르는 걸 자꾸 묻자,
[김영분 : 이렇게 물을 줄 알았으면 집에서 좀 묻고 배워서 올 걸…]
그래도 받아쓰기만큼은 자신 있습니다.
[호국, 선비…김영분, 100점]
처음엔 이름 쓰는 게 목표였습니다.
[권안자 : 내 이름 석 자라도 쓸 수 있으니 너무 좋아요.]
그러다 마음에 담아둔 이야기를 시로 써 내려갔습니다.
[80이 넘어도 어무이가 좋다. 어무이가 보고 싶다]
2천 장 넘게 써내려간 한 자 한 자는 글씨체로 남았습니다.
이젠 고향에 붙은 현수막에도, 컴퓨터 문서용 글꼴에서도, 대통령 연하장에서도 볼 수 있는 글씨가 됐습니다.
그렇게 공부를 계속할 줄 알았지만 처음엔 코로나가, 이젠 건강이 발목을 잡았습니다.
자려고 누워도 칠판이 아른거린다는 할머니들의 말에 오늘 마지막 수업을 열었습니다.
빛나는 졸업장을 받기까지 꼬박 90년이 걸렸습니다.
[김영분 : "더 배우겠다 싶었는데 마지막 수업이라서 좀 그러네요. 쓸쓸하니 좀 안 됐습니다.]
하지만 할머니들에게 마지막 수업은 끝이 아닌 시작입니다.
[김영분 : 영어를 좀 배웠으면 싶어요. 글이라고 하는 것은 배울수록 또 배워지더라고요.]
(영상그래픽 : 박경민)
JTBC 뉴스를 만나는 다양한 방법
JTBC 뉴스
페이스북 공식 채널
좋아요
JTBC 뉴스
채널 서비스
구독하기
JTBC 뉴스
유튜브 공식 채널
구독하기
JTBC 뉴스
카카오톡 공식 채널
친구추가
이전
다음
이 기사를 쓴 기자
윤두열
기자
더보기
네이버 구독
"JTBC 윤두열 기자입니다. 좋은 사람이 되겠습니다."
대구 섬유공장서 큰 불…인근 공장 1곳도 피해
이인수
기자
더보기
구독하기
뉴스현장의??생생한 영상으로 시청자들과 소통하겠습니다.
500년 전 방식 그대로…안동 고택 '전통주 빚기' 현장
이전
다음
좋아요
슬퍼요
화나요
후속취재요청
맨위로
에디터 PICK!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