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박쥐→천산갑, 이번엔 너구리…코로나19 숙주 새 증거 나왔다

입력 2023-03-18 15:30 수정 2023-03-18 15:30
CNN 방송화면 캡처CNN 방송화면 캡처
코로나19 초기 확산에 '너구리'가 관련돼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됐습니다.


현지시간 17일 CNN 등에 따르면 이는 미국 과학연구소 스크립스 리서치, 호주 시드니대학교, 미 애리조나대학교 등 소속의 국제 연구진이 중국 우한의 화난(華南) 수산시장 내 동물 우리, 수레, 바닥 등 곳곳에서 2020년 1월∼3월 채취된 유전자 데이터에 대한 재분석을 시행한 결과입니다.

당시 코로나19에 양성 반응을 보인 유전자 샘플에는 이 시장에서 판매됐던 너구리의 유전자가 상당량 섞여 있었다는 겁니다.

연구팀은 이에 대해 "너구리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숙주였을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동안 유력한 숙주 동물로 꼽혔던 박쥐나 천산갑이 아닌 너구리가 코로나19 중간 숙주 역할을 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얘기입니다.

중국 화산 수산시장은 이름이 수산시장일 뿐 당시 어물을 비롯해 박쥐, 천산갑, 뱀, 오리, 지네, 너구리, 토끼 등 각종 야생동물을 식용으로 팔았습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를 세계보건기구(WHO) 내 '새로운 병원체의 기원 조사를 위한 과학 자문그룹'(SAGO)에 전달했습니다.

이후 WHO는 중국이 코로나19와 너구리 등 야생동물 간 연관성에 대해 더 일찍 공표했어야 한다고 비판했습니다.

테워드로스아드하놈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은 "이 데이터는 3년 전 공유될 수 있었다"며 "우리는 중국이 데이터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필요한 조사를 수행할 것을 계속해서 촉구한다"고 말했습니다.

JTBC 뉴스를 만나는 다양한 방법

이 기사를 쓴 기자

기자사진
안태훈기자 더보기
취재를 하다 보면 진실 아닌 진실에 현혹될 때가 있다. 그때마다 생각한다. "무엇인가에 대해 끊임없이 의문을 갖고 의심하고 있는지..." 공익과 인권도 생각해야 한다. 경쟁에 매몰돼 기자의 본질을 저버리는 건 아닌지... 항상 이 점을 고민하는 기자이고 싶다.

성주 사드, 기지 밖에서 첫 훈련…"방어 범위 넓어지는 효과"

에디터 PICK! 핫뉴스

    대표이사 : 이수영, 전진배
    주소 :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산로 48-6 | 연락처 : (02) 751-6000
    사업자등록번호 : 104-86-33995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2017-서울마포-0896

    JTBC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