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난해 고교 교과서에 이어 또…해마다 차곡차곡 '계획된 왜곡'

[앵커]

사실 일본의 이런 억지 주장은 어제(27일) 오늘의 일이 아닙니다. 문제는 점점 더 왜곡의 강도가 커진다는 겁니다. 특히 이번에 초등학생 교과서까지 왜곡의 강도가 더해지면서 한일 미래세대의 교류는 더 쉽지 않아졌습니다. 

계속해서 이지은 기자입니다.

[기자]

일본은 아베 정권 이후 과거사를 부정하는 인식을 강화해 왔습니다.

주로 일제강점기 때 불법 행위의 강제성을 감추는 방식입니다.

특히 2021년 일본 내각은 '종군 위안부'라는 용어를 '위안부'라고 고치고, 한반도 출신 노동자에 대해선 '강제 연행' 대신 '징용'이 적절하다고 결정했습니다.

이런 움직임은 해마다 발표되는 검정 교과서를 통해 고스란히 반영되고 있습니다.

지난해 고등학교 교과서는 '강제 연행'은 지우고 '동원'과 '징용'이라고 썼고, 이번엔 아직 가치관이 형성되기 전인 초등학생용 교과서까지 고쳤습니다.

어려서부터 왜곡된 과거사를 체계적으로 가르치려는 의도로 풀이됩니다.

[이신철/아시아평화와역사연구소 소장 (성균관대 교수) : 일본 학생들이 일본이 제국주의 국가로서 팽창하는 과정에 대해서 너무나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게 하는 그런 내용이 있어서 일본의 침략이나 식민지 지배에 대해서 정당화하는 논리를 자기도 모르게 받아들일 위험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심지어 우리 정부가 강제동원 배상 해법을 내놓은 뒤에도 이런 태도는 변하지 않았습니다.

[하야시 요시마사/일본 외무상 (지난 9일 / 일본 중의원 안전보장위원회) : 이것을 '강제노동'이라고 표현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한일 경제단체는 정상회담을 계기로 양국 미래세대가 더 많이 교류할 수 있도록 기금을 같이 마련하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초등학생 때부터 왜곡된 교과서로 배운 미래세대와 입장 차는 더 커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옵니다.

JTBC 뉴스를 만나는 다양한 방법

이 기사를 쓴 기자

기자사진
이지은기자 더보기
제 말과 글이 여러분의 마음을 가만 가만 두드릴 때까지, 취재현장의 울림을 담아내겠습니다.

한미일, 올해 안에 '북 미사일 정보' 실시간 공유하기로

에디터 PICK! 핫뉴스

    대표이사 : 이수영, 전진배
    주소 :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산로 48-6 | 연락처 : (02) 751-6000
    사업자등록번호 : 104-86-33995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2017-서울마포-0896
    기사배열기본원칙책임자 : 김준술 | 기사배열기본원칙
    청소년보호책임자 : 방지현 | 청소년보호정책

    JTBC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