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주 G7' 합류했지만…뉴 스페이스 시대까진 '산 넘어 산'

입력 2023-05-26 20:18 수정 2023-05-26 20:18
[앵커]

누리호가 쏜 실용위성은 지금 중국의 남서쪽 상공을 가로지르고 있습니다. 교신도 스무 차례했고, 상태도 좋다고 합니다. 이로써 이제 우리나라도 우주 발사체 기술의 상용화를 향한 걸음마를 막 시작한 건데요, 넘어야 할 과제가 아직 많습니다.

김민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실용위성이 보낸 '잘 있다는' 신호가 확인되자 카이스트 연구진들이 환호합니다.

어제 누리호에서 분리된 차세대 소형위성2호는 정상 작동하며 지구를 하루 15바퀴씩 돌고 있습니다.

이처럼 실용위성을 올릴 수 있단 걸 증명한 누리호는 민간기업의 주도하에 세 차례 더 쏴 신뢰도를 높일 예정입니다.

사실상 뉴 스페이스 시대가 열린 건데 세계 로켓들과의 경쟁은 쉽지 않아 보입니다.

스페이스X는 올해 1분기 위성발사 시장의 40%를 차지했습니다.

미 항공우주국 나사는 과거 이 스타트업에 많은 기술과 노하우를 전수해줬는데 덕분에 스페이스X는 발사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인 재사용 발사체를 만들어 냈습니다.

팰컨9의 1회 발사단가는 900억원 안팎으로 우리 누리호 비용을 단순하게 3657억원으로 잡아도 4배 넘게 차이납니다.

[장영근/전 한국항공대 항공우주 및 기계공학부 교수 : 남들은 30~40년 위성을 발사해도 이 사업을 운용해야 하나 고민해야 하는 시기라고요. 일론 머스크(스페이스X)가 저렇게 빠른 속도로 발전해나가니까 가격 경쟁력이 없다는 것이죠.]

정부는 2032년까지 2조원을 투입해 달에 갈 차세대 100톤급 엔진을 개발할 예정인데 재사용 계획은 없습니다.

엔진의 경제성을 다시 따져봐야 한단 지적입니다.

(영상디자인 : 최석헌)

JTBC 뉴스를 만나는 다양한 방법

이 기사를 쓴 기자

에디터 PICK! 핫뉴스

    대표이사 : 이수영, 전진배
    주소 :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산로 48-6 | 연락처 : (02) 751-6000
    사업자등록번호 : 104-86-33995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2017-서울마포-0896
    기사배열기본원칙책임자 : 김준술 | 기사배열기본원칙
    청소년보호책임자 : 방지현 | 청소년보호정책

    JTBC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